Vision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기본이지만 쓸려면 생각나지 않는.. 그런 녀석인 FOV 계산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Field of View의 계산 공식은 여러가지가 있습죠..
물체와의 거리, WD, CCD Size, 렌즈 화각.. 등등 말이죠..
저도 Vision 처리를 현업으로 살고 있지만.. 말들이 어렵내요..
그래서, 조금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쉽게 FOV를 계산하는 방법은 WD(Working Distance), CCD Sensor Size(mm), 렌즈화각(mm)만 있으면 구 할 수 있다는것..!
계산 공식은
WD(mm) * CCD Sensor Size(mm)/렌즈화각(mm)
입니다.
-- 자 그럼!! 차근 차근 계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WD_?
-> WD, 즉 Working Distance란 일반적으로 CCD의 중점 부터 내가 찍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의미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거리를 나타 냅니다.
2. CCD Sensor Size(mm)_?
-> CCD Sensor Size란 카메라안에 들어 있는 빛의 상을 받아들이 CCD란 녀석의 크기를 얘기 합니다.
일반적으로 CCD의 사이즈는 아래 그림과 같아요~
CCD의 사이즈 분류는 각 사각형 하단의 1/4, 1/3, 1/2, 식으로 분류하고, 각 size당 크기의 분류는
가로비, 세로비, 대각비로 나뉨니다. 2/3inch를 예로 들면
가로비 : 8.8mm
세로비 : 6.6mm
대각비 : 11.0mm
식으로 표기 합니다..!
3. 렌즈화각(mm)_?
-> 렌즈화각이란 말 그대로, 몇 짜리 렌즈를 쓸거냐? 란 뜻인대요
빨간 원에 쓰여진 것 처럼, 각 렌즈의 화각 mm를 말합니다.
자~ 그럼 각 요소들을 알았으니, 한번 계산해 볼까요?
Ex1) 물체까지의 거리가 300mm이고, CCD는 2/3인치, 렌즈의 화각은 8mm 입니다.
이때의 fov Width(폭)은 얼마나 될까요~?
-> 300(물체까지의 거리) * 8.8(2/3인치 Sensor의 가로비) / 8(렌즈화각) = 330(mm)
Ex2) 같은 조건의 Fov Height(높이)는 얼마나 될까요~?
-> 300(물체까지의 거리) * 6.6(2/3인치 Sensor의 세로비) / 8(렌즈화각) = 247.5(mm)
따라서, 위의 조건으러 생성된 Fov는
<- 330mm ->
↑
247.5mm
↓ |
의 공간을 촬영 가능한 것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토대도, 내가 작업하고자 하는 영역을 미리 알고 있다면, 카메라와 렌즈를 선택함에 좋은 정보가 될 수 있겠죠?
또한 CCD와 렌즈의 가선택을 통하여 미리 영역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사이트 하나 투척!
http://www.sweeting.org/mark/lenses/cctv.php
끝!
- 내용출처
egloos의 주인백곰의 블로그
Image 출처
1. http://www.ptt.co.th/blog/?p=560
3 http://blog.naver.com/jbmggm
'--프로그래밍-- > 영상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cv Mat 함수 사용법 목록 (0) | 2016.02.29 |
---|---|
워터쉐드를 이용한 영상분할 (0) | 2016.02.29 |